-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음악 | 펜데레츠키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 Penderecki:Threnody to the Victims of엄마의 클래식/테마로 듣는 클래식 2023. 1. 13. 16:00반응형
가장 슬픈 음악으로 꼽히는 클래식 작품들이 있죠. 가령 사라사테의 찌고이네르바이젠이나 차이콥스키의 비창 등이 주로 언급되곤 하는데요. 그중에서도 가장 슬픈 음악이라면, 단연 펜데레츠키의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Penderecki:Threnody to the Victims of Hiroshima 가 아닐까 합니다.1945년 일본 원폭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간단히 히로시마 애가라고도 불리는 이 곡은 1959년에 작곡된 음악입니다. 이 곡을 처음 들으신다면 어쩌면 당혹스러우실 수도 있겠는데요, 모든 형식에서 탈피하고자 한 전위음악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소음과 같은 온갖 불협화음들로만 가득한 음악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난해하고 이상한 곡을 과연 왜 가장 슬픈 음악으로 소개해드리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히로시마 원폭 직후
펜데레츠키의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에서 52개의 현악기가 내는 찢어질 듯한 소리는 마치 처절한 절규, 비명, 곡성처럼 들립니다. 창자가 끊어질 듯한 고통을 목격하는 것만 같아요. 이 작품에서는 '클러스터'라는 주법이 특징적으로 쓰였는데요. 특정하지 않은 여러 개의 음을 밀집된 덩어리처럼 사용하는 것이 바로 클러스터 주법이에요. 쉬운 예로 피아노 건반을 손바닥으로 쾅 내리치는 것도 클러스터를 연주한 것이겠지요.
얀 토폴스키는 펜데레츠키 히로시마 애가에 이러한 해설을 붙였습니다.약 9분의 "애가"는 모든 종류의 악기가 최고 음역의 톤 클러스터로 시작된다.
약 1분 후, 잠깐의 휴지 후 그것은 우연성 음악으로 바뀐다.
(중략) 5분 있다가 강렬한 특징이 있는 희귀한 구조가 나타나는데,
본체를 두드리는 소리와 굄목과 현의 근처를 치는 소리가 뚜렷해진다.
그리고 마지막 2분 동안 애가는 다시 완전한 형태의 톤 클러스터가 되고
거기에 음의 강약, 트레몰로와 음역의 변화가 추가된다.펜데레츠키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악보 일부 펜데레츠키는 애당초 이 곡의 제목을 연주 시간인 8'37"로 붙일 예정이었으나, 연주에서 엄청난 슬픔의 에너지가 느껴져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로 변경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히로시마 시장에게 편지와 함께 이 곡의 악보와 연주 녹음을 보냈습니다.
히로시마 희생자는 결코 잊거나 잃지 않을 것이며 히로시마가 선의의 사람들 사이에서 형제애의 상징이 될 것이라는 내 깊은 신념을 이 애가가 표현하기를.
2023년 새해가 밝았지만 세상에는 여전히 잔혹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위로의 마음 담아 이 곡을 소개합니다.
핀란드 방송 교향악단 Finnish Radio Symphony가 연주하는 펜데레츠키의 히로시마 희생자에게 바치는 애가 Penderecki:Threnody to the Victims of Hiroshima 입니다.반응형'엄마의 클래식 > 테마로 듣는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